전체 글
-
상류(相柳)신화의 괴물들 2022. 7. 31. 21:57
산해경은 중국 선진 시대에 저술되었다고 추정되는 대표적인 신화집 및 지리서입니다. 샹류는 산해경에 기술된 요괴입니다. 중국 신화에 나오는 홍수와 파괴를 가져오는 머리가 아홉 달린 독사 요괴입니다. 뱀요괴로 그리스의 히드라와 형태가 비슷합니다. 고대 중국 물의 신인 공공의 신하입니다. 산해경에 따르면 이 요괴는 9개의 머리가 있으며 식탐이 강해 셀수 없이 먹어치울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흙 먹는것을 아주 좋아하여, 한번에 아홉개의 산을 먹을수 있으며 토를 하면 물웅덩이가 되고 그 냄새는 역겹고 쓰라려 들집승들이 가까이 오지 않습니다. 머리가 9개이고 크기가 너무 커서 아홉개의 머리가 각각의 언덕에 있으며 지나가는 새와 짐승을 동시에 잡아 먹을수 있다고 합니다. 물의 신인 공공과 같이 동행하며 수많은 수해를..
-
바이저(白泽)카테고리 없음 2022. 7. 30. 22:29
바이저는 인간의 말을 할수 있고 세상의 존재에 대한 지식이 있는 고대 중국 신화의 생물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얼굴을 한 네발 달린 생물로 묘사되지만 다른 문헌에서 바이저는 붉은 머리와 뿔을 가지고 있으며 몸은 용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때론, 녹색 머리와 뿔을 가진 용으로 네 다리는 날도록 묘사되기도 합니다. 흔히 그리핀, 유니콘과 불사조 같이 도덕률이 높은 군주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중국의 창조 신화에서 황디는 동중국해에서 바이저를 만나 만물의 진리, 초 자연적인 존재에 대해서 배웠으며, 바이제는 전 세계의 요괴가 처한 상황에 대한 11,520가지를 알려주었습니다. 또한 황디를 통해 백성들에게 경고하여 그때 사회의 부조리 및 악한 행위를 멈추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황디는 기원전 2704..
-
바쉐(巴蛇)신화의 괴물들 2022. 7. 30. 22:28
바쉐는 고대 중국 신화와 전설에 나오는 거대한 뱀 모양의 괴물입니다. 중국에서 네번째로 큰 호수인 동정호에서 살았으며, 동물을 잡아 먹으며 살았다고 합니다. 한때 코끼리를 산채로 삼켜 뱉어내기까지는 3년의 세월이 걸렸다고도 합니다. 바쉐가 인간을 공격해 큰 위협이 되어 사람들이 두려움 속에서 살게 되자, 황제는 후이를 보내어 이 괴물을 죽이게 했고, 화살을 바쉐에게 쏘고, 서쪽 끝까지 따라가 두 조각으로 잘랐습니다. 일반적으로 바쉐는 시안색, 노란색, 또는 검정색이지만, 몸이 검은색, 머리가 시안색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신화와 전설에 나오는 이 괴물 덕에, 중국에는 속담이 하나 생겼습니다. 중국 속담인 人心不足蛇吞象(人心不足蛇吞象)은 “사람의 욕심은 코끼리를 삼키는 뱀보다 더 나쁘다”라고 합니다.
-
에키드나(Echidna)신화의 괴물들 2022. 7. 30. 22:27
에키드나는 괴물들의 어머니로 불립니다. 몸의 반은 반짝이는 눈을 가진 날개 달린 여자였고 반은 거대하고 비늘이 있는 뱀이었습니다. 이 괴물은 매혹적인 여성의 얼굴과 파충류의 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불사신이었고 희생자 및 제물들을 산 채로 삼키기를 좋아하해서, 땅의 구덩이로 끌고 가곤 했습니다. 지하 깊숙한 동굴에 살고 있으며, 에키드나는 티폰과 사이에서 그리스 신화에서 만날 수 있는 많은 유명한 괴물을 낳았습니다. 올림푸스의 신들에게 패배하고 티폰이 추방된 후 에키드나(Echidna)와 그녀의 후손은 영웅들에게 계속 도전했습니다. 그리스의 시인인 헤시오도스에 의하면 에키드나의 자손은 아래와 같습니다. 오르투르스 켈베로스 레르네이안 히드라 키메라 스핑크스 레르네이안 사자 라돈 고르곤
-
괴물들의 아버지, 티폰: 그리스 신화 속 가장 강력한 존재신화의 괴물들 2022. 7. 30. 22:26
그리스 신화 속 가장 강력하고 치명적인 존재로 여겨지는 티폰은 '괴물들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타르타로스와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티폰은 엄청난 폭풍을 동반하여 그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상반신은 인간의 모습이었지만, 하반신은 쉿 소리를 내는 거대한 방울뱀 꼬리 형상이었으며, 머리 또한 하나가 아닌 100개의 용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거대한 날개를 가지고 있었고 눈에서는 불꽃이 번쩍였다고 하니, 그 위압감을 상상하기조차 힘듭니다.올림포스 신들조차 두려워한 존재티폰은 올림포스의 신들과 영웅들조차 두려워하는 존재였습니다. 그의 아내는 에키드나였으며, 그 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유명한 괴물들이었습니다. 티폰과 에키드나는 한때 올림포스 신들을 공..
-
싸이클롭스(Cyclopes)신화의 괴물들 2022. 7. 30. 22:24
우리 모두는 이 유명한 외눈박이 괴물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어떻게 탄생했는지 전혀 모릅니다. 오늘은 사이클롭스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천왕성과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3개의 싸이클롭스(아르게스, 스테로페스, 브론테스)가 있었습니다. 세 사람 모두 숙련된 대장장이였습니다. 제우스의 벼락, 하데스의 투명 투구, 포세이돈의 삼지창을 만들어, 제공한 것은 싸이클롭스였습니다. 이 3가지 무기들은 타이탄을 파괴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헤시오도스의 온순한 사이클롭스 트리오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오늘날 호메로스의 폭력적이고 멍청한 싸이클롭스 종족(그 중 가장 유명한 이야기중 하나는 오디세우스와 그의 선원을 잡아먹으려 한 폴리페모스.)이 훨씬 더 잘..
-
메두사카테고리 없음 2022. 7. 30. 22:23
메두사는 고르곤 세 자매(메두사, 스테노, 에우리알레) 중 유일한 필멸자였습니다. 그녀는 아름다운 처녀였지만 포세이돈은 아테나 신전에서 그녀를 강간했습니다. 포세이돈을 흠모하던 아테나는 분노해 메두사를 못생긴 여자의 얼굴과 머리카락에 뱀을 가진 끔찍한 괴물로 만들었습니다. 아주 무시무시한 저주는 그녀의 눈을 쳐다보는 사람은 누구든지 돌로 변하는 것 이였습니다. 절망 속에 메두사는 외모만큼이나 소름 끼치게 되었으며, 어린 뱀이 머리카락에서 떨어져 아프리카로 도망쳤습니다. 그리스인에 따르면 이 속설이, 아프리카대륙에 많은 독사가 거주하게 된 이유라고 합니다. 메두사는 페르세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습니다.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목을 베어 잘려나가는 순간 그녀의 피와 영혼에서 크리사오르와 페가수스가 태어났다고 합니..
-
아오( 鳌)신화의 괴물들 2022. 7. 30. 22:22
중국 신화 속 아오는 산과 대륙을 떠받치는 거대한 바다 거북으로, 용의 아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오는 천하가 창조될 무렵 남중국해에 살았던 생물로, 인류를 창조한 여와 여신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여와 여신과 아오중국 신화에 따르면, 여와 여신은 인간을 창조한 후 하늘에 큰 구멍이 생기는 재앙을 겪게 됩니다. 여와는 오색 돌을 녹여 하늘을 메우고, 아오의 네 다리를 잘라 하늘을 떠받치게 하여 세상을 바로잡았습니다. 아오는 자신의 다리를 희생하여 세상을 구원한 영웅적인 존재로, 중국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아오의 상징성아오는 굳건한 힘과 안정성을 상징합니다. 그는 세상을 떠받치는 존재로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