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응에(Nghê)아시아 2022. 8. 8. 20:33
베트남 문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신화적인 동물로 사자와 개가 결합한 키메라적인 생물입니다. 마스코트로 사용될정도로 유명한 영물이며, 베트남의 사원, 신사 및 신사 입구, 북 베트남 지역의 마을 입구에 마을 전체를 보호하는 큰 석조 동상으로 세워져 있습니다. 중국과 인도 불교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영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Nghê는 유니콘이나 사자와 달리 베트남인이 만든 일각수의 현지화된 성물입니다. 개의 화신으로서 사신도의 영물과 동급으로 현지에서 취급받습니다. 악령과 마귀에 대항하는 영적 수호 동물로써, 불교에서 부처의 사자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불성으로 흉폭함과 짐승의 성질을 버린 불교의 수호자로 표현됩니다.
-
부라크(Buraq)중동 2022. 8. 7. 18:52
부라크는 이슬람 신화에 나오는 인간의 머리와 독수리의 날개를 가진 고귀한 백마입니다. 당나귀보다는 크기지만 노새보다는 작습니다. 중동 아시아의 나라마다 부라크를 묘사하는 방법이 다른데, 어떤 지역에서는 머리가 여자아이이며 꼬리가 공작인 말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라크는 번개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한 걸음이면 수평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메카에서 예루살렘까지 왕복해서 도시와 도시 간의 여행을 하룻밤 만에 완료했다고 합니다. 짧은 시간에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신기한 전설적인 생물은 이슬람 신화에서 여러 예언자를 위한 교통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Buraq는 터키에서는 남자의 이름이라고 합니다. 초기의 전래 동화집이나, 저작물에는 부라크를 성별이 모호하고, 미완성이..
-
이프리트(Efrit)중동 2022. 8. 6. 22:41
이프리트는 이슬람 신화와 민속학에서 전래되는 강력하며 사악한 초자연 존재입니다. 일반적으로 지하, 버려진 사원, 쓰레기 매립지 등 폐허와 같이 황폐하고 황량한 환경에 숨어 살며 거대한 날개 달린 남성 또는 여성으로 묘사합니다. 이프리트는 연기와 불로 이루어진 불의 정령 같은 이미지도 사람들에게 묘사되기도 합니다. 옛날 오락실게임에서 이프리트는 불의 정령으로 표현되기도 하였습니다. 참고로, 이프리트의 진정한 서식지는 지하세계입니다. 이프리트는 고대 아랍 부족과 같이 구조화된 사회에 살며, 각자 역활이 있습니다. 서로 결혼도 가능하지만 인간과는 결혼할 수 없습니다. 초자연적인 존재이기에, 일반적인 무기 즉, 칼, 도끼, 창, 검과 군대로는 이프리트를 굴복시키거나 죽일수 없지만, 이프리트를 종속, 파괴, 제어..
-
갓파(かっぱ)아시아 2022. 8. 3. 16:11
갓파는 일본의 요괴입니다. 갓파의 외관은 아이와 같은 영장류이며, 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접시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접시는 평평한 원형이고, 물이 고여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이 고여있는 물이 말라버리면 갓파는 힘을 잃거나 죽는다고 합니다. 온 몸이 초록색이거나 빨강색이며, 입은 짧은 새의 처럼 부리가 있고, 등은 거북이와 같은 등딱지가 있습니다. 손발은 물갈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문은 3개가 있다고하며, 체취에는 생선과 같이 비린내가 나며, 모습은 원숭이나 수달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위의 설명을 통해 이 요괴가 물과 친숙한 수중 요괴임을 알려줍니다. 갓파는 일본의 전래 민속 동화에 따르면 장난을 좋아하지만 사람들에게 나쁜 짓은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을의 공사를 돕거나, 자신을 도..
-
히시(Hiisi)유럽 2022. 8. 2. 09:49
히시는 깊은 숲, 산속, 물속에 사는 핀란드 신화에 나오는 숲의 신입니다. 보통 히시는 몇 가지 다른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사람들이 신을 위해 희생하는 성스러운 숲속의 성지를 의미합니다. 다른 하나는 거대한 암석을 지층으로 만든 거인과 동굴과 틈에 사는 작은 생물을 모두 히시로 불렀습니다. 히시는 작은 꼬마 아이처럼 보이지만 때로는 거인처럼 크다고 합니다. 자신의 몸을 숨겨 상대방이 보지 못하게 할 수 있는 힘이 있으며 사람을 사로잡아 병들게 한다고 합니다. 각자 개성이 강하고, 의견 충돌이 커, 자칫 잘못 보면 싸우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그들의 의도는 항상 나쁜 일을 하는 것이 아닌 다른 의도도 있다고 합니다 핀란드의 전래되는 동화에서 부분적으로 히시는 신에게 공격, 독살, 사고를 일으키는 악마..
-
알룩스(Alux)아메리카 2022. 8. 1. 17:25
알룩스는 멕시코, 콰테말라 및 벨리즈에서 발달한 마야 토속 신화 및 전래 동화에서 유래 했으며 자연의 관리자로 간주됩니다. 마야 토속 전래 동화에 따르면, 알룩스는 태양보다 오래된 작은 존재로 묘사됩니다. 그들은 성인의 무릎 높이 정도로 작고, 장난꾸러기 성격과 한지역에 머무르는 존재이기에 겉모습과 육체적으로 엘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사람과 의사 소통이 가능하고 사람을 놀라게 할 목적으로 여러 형태로 변할수 있습니다. 알룩스는 샤먼이라고 불리는 마야 현자에 의해 만들어진 요정입니다. 동굴에서 채취한 아주 깨끗한 점토와 그 주인의 피 9방울을 넣어 만들 후 의식을 거행하며, 이는 주인과 알룩스 사이의 유대감을 발전시키기 위함입니다. 호화로운 제물로 제단을 만들어 이 요정이 주인을 ..
-
지옥의 문지기, 켈베로스(Cerberus): 그리스 신화 속 머리 셋 달린 개 이야기신화의 괴물들 2022. 7. 31. 22:54
여러분, 혹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무시무시한 개, 켈베로스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켈베로스는 죽은 자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지하 세계의 입구를 지키는 머리 셋 달린 무시무시한 개로, 그리스 신화 속에서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캐릭터입니다. 오늘은 켈베로스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켈베로스의 탄생과 외형켈베로스는 그리스 신화 속 괴물인 에키드나와 티폰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뱀 꼬리, 뱀 갈기, 사자 발톱을 가진 켈베로스는 특히 세 개의 머리가 특징입니다. 이 세 개의 머리는 각각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기도 하고, 출생, 젊음, 노년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켈베로스의 무시무시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켈베로스는 치명적인 입김, 독이 있는 타액,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이빨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