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난꾸러기 정령 사시(Saci)아메리카 2022. 10. 14. 17:00728x90반응형
브라질에서 가장 유명한 괴물을 꼽자면, 사시를 꼽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얼마나 유명한지 이 괴물을 위한 날이 제정되어 있습니다. 브라질 정부에서는 미국의 핼러윈 전통이 브라질에 퍼지는 것을 고려해, 매년 10월 31일을 사시의 날(Saci Day)로 제정했고 정부에서 브라질의 문화로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려 노력합니다.
사시는 사람을 속이고, 괴롭히는 것을 좋아하는 장난꾸러기 정령입니다. 검은 피부에 머리에 빨간 모자를 쓰고 있는 젊은 청년으로 묘사됩니다. 입에는 항상 파이프를 물고, 손바닥에는 구멍이 있으며, 외발이인데, 발은 아주 크다고 합니다. 사시는 대나무 줄기에서 태어나며, 태어나기까지 7년의 세월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태어난 후 정확히 77년을 살다가 죽으면 열대 우림의 나무 옆에 자라는 귀 모양의 곰팡이인 독버섯 또는 Pycnoporus sanguineus로 변한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사시의 귀를 커진다고 합니다.
사시의 빨간 모자는 마법의 모자입니다. 모자의 모습은 절대 투명해지지 않지만, 쓰는 사람의 마음대로 자신을 투명하게 변화시켜 상대방이 사시를 보지 못하게 한다고 합니다. 보통 인간의 모습에는 붕 떠 있는 빨간 모자의 모습만 보일 뿐입니다.
브라질 지역의 원주민들은 사시의 빨간 모자가 탐이나, 훔치려고 노력했지만, 모자에는 역겨운 악취 냄새가 진동했다고 합니다. 설상가상으로 그것을 만진 사람의 손이나 모자가 닿은 몸의 부분은 역겨운 악취 냄새가 진동하였고, 결코 그 냄새를 몸에서 제거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사시는 자기 모자를 소중히 여겼고, 혹시나 사람이 모자를 빼앗으려고 하면 그 사람이 원하는 소원을 들어주는 절충안을 제공했다고 합니다.
사시는 또한 변신에도 능하다고 합니다. 보통 울적한 소리로 노래를 부르는 새의 일종인 마티아페레(Matiapere)의 모습을 변신하고 나무에 사람들을 구경합니다. 속임수와 괴롭힘을 좋아하는 정령이기 때문에, 재봉사의 바늘을 무디게 하여 일하지 못하게 하고, 물건과 사람에게 다양한 저주를 걸며, 아이들의 장난감을 숨기고, 농장의 가축들을 풀어주고, 개를 괴롭히고, 유우에는 신맛이 나며, 계란은 깨지지 않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 지역의 가축과 주민에게 고통스럽고 짜증이 나는 경험하게 합니다. 다행히 이러한 피해는, 죽음이나 반영구적인 장애와 같은 큰 피해로 넘어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역 주민들은 화가 난 사시의 분노를 피하는 방법을 찾았고, 방법을 찾았습니다. 사시가 사람들에게 해코지를 할 때, 흐르는 강으로 뛰어가 건너는 것입니다. 토속적인 브라질 지역의 신앙으로써 강을 지나갈 때, 초자연적인 존재는 강을 건널 때, 모든 힘을 잃는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믿음으로 주민들은 사시에게 쫒길때, 흐르는 강으로 건너갔습니다. 사시는 모든 힘을 잃을까 두려워 흐르는 강을 절대 넘어가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매듭이 가득한 로프를 주변으로 던지는 것입니다. 사시는 매듭에 대한 강박증이 있어, 매듭이 가득한 로프를 보면 무조건 풀어야 한다고 합니다. 밧줄의 매듭에 집중하게 되면, 도망갈 수 있는 순간이 생긴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파이프에 들어가는 담배와 카샤사(남미의 술)를 주면, 호의를 얻고 벗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석탄이나 작은 물체를 가지고 저글링 하며 자기 손바닥의 구멍으로 떨어뜨리는 것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매우 날렵하며 오른쪽 다리가 없어서 맨손으로 말을 타고 가부좌 자세로 파이프를 피며 다니는 것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사시를 완전히 제압하는 방법이 있는데, 염주로 만든 묵주를 사시에게 던지는 것입니다. 묵주를 던지고 사시를 설득하면 포획이 가능한데, 어두운 색깔의 유리병에 들어가도록 설득하고 마지막으로 십자가 표시가 있는 마개로 밀봉하면 된다고 합니다. 사로잡히는 동안 어떻게 대접하느냐에 따라 소원을 들어주기도, 나중에 도망쳐 복수하기도 한다고 합니다.728x90'아메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가지 멕시코 신화 생물 (2) 2022.10.18 카보클로 다과(caboclo d'água) (0) 2022.10.17 엘 폼베로(El Pobmero) (2) 2022.09.28 천둥새(Thunderbird) (2) 2022.09.26 웬디고(Wendigo) (0)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