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엘 폼베로(El Pobmero)
    아메리카 2022. 9. 28. 17:00
    728x90
    반응형

    폼베로

    괴물이 나타나는 현상에는 초 자연적인 현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시기 사람들의 두려움에 맞춰 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전 세계적으로도 흔한 경우이며 오늘 소개해드릴 남아메리카 지역의 괴물인 폼베로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 괴물은 작은 엘프와 같이 말썽꾸러기 생물이며, 라틴 아메리카의 아르헨티나 북부, 파라과이, 브라질 남부 사이의 시골을 배회했다고 합니다. 성적 욕구가 너무 강하여, 절대 만족하지 않고, 도수가 아주 높은 독한 술을 좋아하는 괴상한 생물이지만 이 지역에서 두려워하면서도 사랑받는 민담과 동화로 내려온다고 합니다.


    폼베로는 파라과이 과라니에서 "밤의 제왕", "털이 많은 발", "태양의 지배자"로 알려졌습니다. 낮 동안의 활동이 적은 야행성 생물이며 시골 지역과 숲에 집착하는 성향을 가졌고 버려진 집과 헛간을 자신의 피난처로 삼았습니다. 지역에 따라 묘사하는 방법은 약간 틀리지만 일반적으로 키가 작지만 근육질이며 온몸에 털이 있으며, 손과 발이 매우 못생겼다고 합니다. 많은 능력이 있는데, 새의 울음소리를 정확하게 모방할 수 있고 새들과 의사소통을 한다고 합니다. 그는 나무나 동물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들을 처벌하는 책임이 있는 자연의 수호 엘프로 여겨졌습니다. 새총으로 새를 사냥하는 지역의 어린이들로부터 새를 보호하기 위해 폼베로가 큰 새소리를 내서 경고한다고 믿었고, 폼베로를 새의 수호자로 생각했습니다. 만약 경고에도 불구하고 계속 작은 동물들을 괴롭히고, 장난친다면 아이들을 납치해 피를 빨아 먹는다고 합니다.

    폼베로의 이미지


    발에 털이 많아서 소리 없이 지역 주민들에게 몰래 다가가 털이 많은 손으로 그들의 몸을 만지면 주민들은 소스라치게 깜짝 놀라 공포에 떨게 되었습니다.


    이 괴물은 지역 주민에게 해코지를 많이 했는데, 보통 폼베로의 희생양은 소를 가꾸고 숲에서 농사를 짓는 평범한 농부와 혼자 산책하는 여성이었습니다. 그의 장난은 소를 풀어 놓아 말을 놀라게 하여 기수를 쫒아내거나, 농부의 농장에서 닭, 계란, 꿀을 훔치고, 쌀, 옥수수 및 기타 농산물을 뿌리고 주변을 어지럽게 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비인간적이고 흉측한 모습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언변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단순히 여성들을 만지거나 유혹하여 여성을 임신시킨다고 하며, 그 시기 임신부가 출산한 아기의 피부가 어둡고, 못생겼으며 털이 많으면 폼베로의 아이라고 믿었습니다.

    폼베로 이미지


    장난이 심하고 문과 창문을 난폭하게 여는 것을 좋아하고 돌을 던지거나 물건을 옮기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들을 귀찮게 하기 위해 자신을 투명하게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그의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놀리거나, 밤에 큰 휘파람 소리를 불면 안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폼베로를 화나게 하며 그의 털로 수북한 손으로 사람들을 한 번이라도 만지게 되면 벙어리가 되며, 정신적 떨림과 혼란을 맞이하게 된다고 합니다.


    말썽꾸러기 성격으로 큰 피해를 보는 지역 주민들은 폼베로에게 피해받지 않는 방법을 고민하고 고민했고 마침내 찾아냈습니다. 폼베로가 독한 럼주, 꿀과 담배를 특히 좋아하는데, 이것을 마을 외부에 제물로 두면 주민들에게 장난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보통 10월 1일 전에 자신을 위한 제물을 보내주지 않으면 밀짚모자와 채찍을 듣고 마을에 내려가 자신을 기리지 않는 사람들에게 채찍질한다고 합니다. 거참 이상한 괴물입니다. 하는 행동이 우리나라의 도깨비와 비슷한 거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담배를 피고 있는 폼베로

    728x90

    '아메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보클로 다과(caboclo d'água)  (0) 2022.10.17
    장난꾸러기 정령 사시(Saci)  (0) 2022.10.14
    천둥새(Thunderbird)  (2) 2022.09.26
    웬디고(Wendigo)  (0) 2022.09.24
    티제루크(Tizheruk 또는 Pal-Rai-Yûk)  (0) 2022.09.1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