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라수에(Krasue)아시아 2022. 8. 20. 10:54728x90반응형
오늘은 동남아지역의 무서운 외형을 가진 언데드 유령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캄보디아 지역에서는 아하프, 라오스에서는 카수, 인도네시아에서는 쿠양, 리크, 베트남에서는 말라이라고 불리는 야행성 여성 유령입니다. 특이한 점은 젊고 아름다운 여성의 머리에 목 아래는 내부 장기가 보이는 흉측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태국 지역에서는 남자 외형을 지닌 유령인 "크라항"과 같은 지역에 거주한다고 합니다
크라수에의 떠 있는 머리는 유령의 한 종류인 위스퍼와 같은 종류로 반딧불같이 발광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발광하는 특성이 있는 이유는 거주하는 지역에 메탄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크라수에는 하체가 없으므로 땅 위를 부유하며 움직입니다. 머리에 목과 목구멍만 연결된 다른 예도 있습니다. 머리 아래 내부 장기는 보통 심장과 위를 포함하며, 긴 위장을 갖고 있고, 창자는 유령의 탐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반은 영혼이며 반은 필멸의 여성이며, 낮에는 평범한 여성으로 보이지만 밤에는 머리와 내부장기만 남은 유령으로 하반신은 조용한 곳에 숨기는 특성이 있습니다. 항상 허기를 느낄 수 밖에 없는 저주를 받아, 밤에 배를 채우기 위해 사냥을 나가, 피와 날고기를 찾아 돌아다닙니다. 어둠 속에서 소나 닭을 공격하여 피를 마시고 내장을 먹어 치우거나, 죽은 물소나 소의 껍질을 먹기도 합니다. 마을 사람들이 옷을 말리기 위해 밖에 두고 걸어둔 옷은 크라수에가 입을 닦은 후 피와 배설물로 더러워진 채 발견되어, 밤 동안에 밖에 옷을 걸어 말리기 위해 두지 않는다고 합니다. 특이한 냄새에 반응하며, 좋아하는 냄새는 피, 생고기, 마을의 가축, 시체, 분변, 태반, 신생아 등이라고 합니다. 이 요괴의 약점은 가시와 경비견이라고 합니다.동이 트기 전에 반드시 다시 자기 몸으로 되돌아가야 하는데, 보통은 머리 없는 몸은 아무도 모르는 장소에 숨겼다고 합니다. 만약 마을 주민들이 머리가 없는 몸을 찾아 몸을 부수게 되면 요괴는 치명적이며 죽음에 이를 수 있는 고통을 얻으며, 동이 트기 전까지 하반신을 찾지 못하면 끔찍한 고통과 함께 죽음에 이릅니다. 마을 주민들을 크라수에를 퇴치하기 위해, 횃불을 들고 요괴를 찾아 잡거나 어디로 가는지 지켜봐 하반신을 찾아, 태우거나, 숨겨 요괴를 퇴치했습니다.
크라수에의 기원은 확실하게 없지만, 여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태국에서는 크라수에는 전생에 다양한 죄와 사기 행위에 가담한 저주받은 개인으로 여겨집니다. 그녀가 죽은 후 그녀의 죄로 인해서 푸티가 되며 낭비되거나, 요리되지 않은 것, 썩은 음식들로 반드시 살아야 합니다. 다른 기원으로는, 이전에 햇빛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머리와 목에 긴 검은 거즈나 리본을 묶은 부유한 여성이 있었는데, 이 여자가 악령에 사로잡혀 크라수에가 되는 저주를 받았다고 합니다. 크라수가 되는 것은 과거의 죄와 관련이 많은데, 머리와 몸이 분리되는 흑마법을 배우려고 하는 여성이 있었는데, 잘못된 주문을 사용하여 크라수에가 되었다는 이야기 또는, 전생에 누군가를 낙태하거나 죽인 여성, 크라수에의 오염된 음식과 음료를 섭취한 사람이 저주받아 크라수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크라수에는 피 냄새에 민감해 피를 먹으러 가기 때문에, 밤에 잠든 상처를 입은 사람들과 출산을 막 앞둔 임산부는 주의해야 합니다. 임산부와 태아가 피해를 당하지 않고 보호받도록 가족과 친척들은 집 주변에 가시나무의 가시로 만든 울타리를 주변에 두었습니다. 가시나무의 가시로 만든 울타리를 집에 설치하면 크라수에의 내부 장기가 가시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뾰족한 것을 무서워합니다. 가시울타리는 크라수에가 피를 빨러 오는 집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고 합니다. 특히 임산부의 출산 후 태반은 특별하게 취급되어 크라수에가 찾을 수 없게. 빠르게 깊은 땅속에 묻어버렸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크라수에가 갓 출산한 여성의 태반을 먹으면 아이가 그 가족에게 큰 재앙을 가져올 거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728x90'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마타노 오로치(ヤマタノオロチ) (0) 2022.08.22 삼귀자(三貴子) (0) 2022.08.21 샤다바르(Shad'havâr) (0) 2022.08.18 올고이-코르코이(Olgoi-Khorkhoi) (0) 2022.08.16 타누키(狸, Tanuki) (0)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