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오늘은 일본 민속 신화에서 나오는 3명의 중요한 신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삼귀자라고 하는데, 태양의 여신인 아마테라스, 폭풍의신 스사노오, 달의 신 쓰쿠요미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일본의 초대 신인 이자나기가 죽은 아내인 이자나미를 구하려고 지하세계인 요미를 방문한 후 자신의 죄를 정화하기 위해 강에서 목욕했고, 왼쪽 눈을 씻었을 때 아마테라스가 먼저 나왔고, 오른쪽 눈을 씻었을 때 츠쿠요미가, 코를 풀고 씻었을 때 스사오노가 태어났습니다.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御神)일본의 고유 종교인 신토에서 나오는 팔백만 신들 중 최고위를 차지하는 여신입니다. 아마테라스는 "하늘에서 빛난다"라는 뜻이 있으며 보통 태양신, 농경신 등으로 불립니다. 기키(일본 신화 서적)에 따르면 아마테라스는 태양을 신격화 한 신으로 일본 왕실의 조상신의 일종으로 일컬어집니다. 신토내에서 신앙의 대상이자 토지의 제신으로 모셔진 신사로 이세신궁이 특히 유명합니다.
아마테라스는 태양신의 성격과 무녀의 성격을 겸비한 존재입니다.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신중 하나로, 모든 소원을 들어준다고 해, 소원 성취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술에 취한 폭풍의 신 스사노오의 행패를 보다 못해 스스로 천상의 바위 동굴 속에 은둔하여 세상이 어둠으로 휩싸였는데, 지혜의 신 오모이카네가 그녀를 유인할 계획을 세웠고, 다른 신들이 춤을 추어 아마테라스의 호기심을 자극해, 스스로 동굴에서 나오게 하여 세상이 다시 밝아지자, 다른 신들이 동굴을 영원히 봉인해 아마테라스가 다시는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행패를 부린 스사노오는 책임을 지며 지상 세계로 추방되었다고 합니다.
아마테라스는 일본의 왕들에게 삼종신기인 구슬(가타마), 칼(츠루기), 거울(가가미)를 하사했으나, 일본의 왕 이외에는 삼종신기를 실제로 본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스사오노(素戔嗚)
아마테라스 여신의 남동생으로 다채로운 성격이다. 어머니인 이자나기의 나라에 가고 싶다고 울고 외치는 어린아이와 같은 면이 있지만 동시에 흉포한 일면도 있는 상반된 특성(선과 악)을 가진 신으로 묘사되며, 다양한 이야기에서 바다와 관련된 거칠고 성급한 신으로 설명됩니다. 폭풍우와 괴물 뱀 오로치를 물리친 영웅적인 인물, 수확과 농업에 관련된 지역 신으로서, 나중에는 역병과 질병의 신으로도 불리게 되었습니다.
일설로 어머니가 그리운 스사오노는 자신의 수염이 길어질 때까지 끊임없이 울고 울부짖으며 산을 시들게 하고 강을 메마르게 하였고, 화가 난 아버지인 이자나기는 스사오노을 신의 세계에서 추방했습니다.
스사오노는 이즈모땅에서 아시나즈치라는 노부부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노부부는 8명의 딸 중 7명의 딸이 야마타노 오로치로 알려진 머리 여덟 달린 괴물 뱀에게 잡아 먹혔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여덟 번째 딸 또한 괴물 뱀에게 가까운 시일에 잡아 먹힐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의 어려움과 곤경에 공감한 스사오노는 여덟 번째 딸인 쿠시나다히메를 빗으로 변신시켜 머리에 꽂았습니다. 그런 다음, 포도주를 마시게 하여 괴물 뱀을 취하게 하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괴물뱀 야마타노 오로치를 죽였습니다. 괴물 뱀의 가운데 꼬리를 베었을 때, 그의 날카로운 칼날이 부러졌고 이상하게 생각한 그는 크고 예리한 검이 꼬리 안에 있는 것을 찾아냈고 이 검을 아마테라스에게 선물합니다. 이 검의 이름은 쿠사나기입니다.츠쿠요미(月読命)
츠쿠요미의 달의 신으로 성별은 불분명하지만, 남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때, 츠쿠요미와 아마테라스가 결혼하여 달과 태양이 같은 하늘을 공유하였고, 음식의 여신인 우케모치가 아마테라스의 몸을 바다로 돌려 몸에서 물고기를 뱉어내고, 숲을 마주하게 하여 동물들을 뱉어내고, 논에서는 쌀 한 그릇을 토해 음식을 만드는 모습에, 츠쿠요미는 역겨운 방식으로 음식이 차려지는 방식에 혐오감을 느껴 우케모치를 죽였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아마테라스는 매우 분노하였고, 다시는 츠쿠요미를 쳐다보지 않도록 하늘의 다른 곳으로 영원히 이동했습니다. 이것이 밤과 낮이 결코 함께 하지 않는 이유입니다.728x90'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티(Yeti) (0) 2022.08.27 야마타노 오로치(ヤマタノオロチ) (0) 2022.08.22 크라수에(Krasue) (0) 2022.08.20 샤다바르(Shad'havâr) (0) 2022.08.18 올고이-코르코이(Olgoi-Khorkhoi) (0)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