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라드리우스(Caladrius)
    유럽 2022. 10. 4. 18:35
    반응형

    칼라드리우스

    새는 수천 년 동안 많은 징조와 관련되어 왔습니다. 로마의 건국과 관련된 점성술이나 히치콕 감독의 작품인 "새", 부엉이 부족이 나오는 가디언의 전설 등 많은 미디어 및 문학에서 새를 주제로 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초자연적인 존재는 중세 신화 속에 나오는 칼라드리우스입니다. 이 특별한 새는 흰 백옥같은 색깔에 비둘기나 갈매기의 일종으로 묘사되며, 예언의 힘과 상처를 치유하는 배설물이 깃든 새로 소개됩니다. 칼라드리우스는 단순한 눈빛으로 사람이 살지 죽을지 알려줄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 왕의 궁정에 거주하였는데, 칼라드리우스를 병든 환자의 머리맡에 놔두고, 이 초자연적인 새가 병든 환자가 있는 방에서 환자를 보고 외면한다면 그 환자는 반드시 죽는다고 합니다. 반대로, 새가 시선을 고정하고 그 아픈 환자를 응시하면 환자는 병에서 완쾌한다고 합니다.


    새의 시선을 통해 환자의 질병이 칼라드리우스에게 옮겨져 태양을 향해 날아가 질병은 불태워 없어진다고 했습니다. 칼라드리우스는 고통받는 환자의 운명을 예언할 수 있었다고 하며, 새의 배설물은 장님의 눈을 치료한다고 합니다. 가끔 칼라드리우스의 넓적다리뼈도 배설물과 같은 치료의 효과가 있기도 했다고 전해집니다.

     

    아픈 왕과 칼라드리우스

    신의 치유 능력과 같은 능력으로 칼리드리우스는 중세의 수컷 동물로서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식별되었습니다. 죽어가는 자와 그가 고칠 자들을 바라보는 것은 이방인들을 바라보고 구원하는 그리스도를 나타낸다고 중세의 사람들은 생각했습니다. 병자의 질병을 소멸시키는 것은 인류에 대한 그리스도의 구원을 상징했다고 합니다. 칼리드리우스가 태양으로 날아가는 것은 그리스도가 하늘로 승천하는 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합니다. 순백의 색깔로 인해, 그리스도처럼, 칼라드리우스도 흠이 없고 죄가 없다고 당시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믿었습니다.

     

    환자를 응시하는 칼라드리우스

    칼라드리우스가 짐승 속에서 그리스도와 같이 비유되기 전에, 실제 새로서 여러 고대 문헌에 나타났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칼라드리우스를 동굴에 거주하는 새 또는 물새로 다양하게 묘사했습니다. 고대 아타르바베다에서는 황달을 치료하는 능력을 갖춘 새가 나타나며, 성경 구약의 레위기와 신명기에서 칼라드리우스는 인간이 먹어서는 안 되는 부정한 동물의 목록을 차지합니다.


    현대 학자들은 칼라드리우스의 기원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중세 시대의 사람들은 칼라드리우스의 특성보다는 기독교 행동에 대한 도덕성을 전달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전달했습니다.

     

    알렉산더 대왕과 칼라드리우스


    칼라드리우스는 알렉산더 대왕의 중세 역사에도 등장하며, 알렉산더 대왕이 동쪽으로 여행하는 동안 마주한 경이로운 새에 포함됩니다. 순백의 조류로 소개한 칼라드리우스와 달리 알렉산더 필사본에 있는 것들은 황갈색 또는 황색 깃털로 종종 묘사됩니다.


    15세기 이후 칼라드리우스에 대한 많은 언급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진단 및 치유와의 명백한 연관성으로 인해 의학의 이상적인 상징이 되었습니다. 칼라드리우스는 남아프리카 의과 대학, 남아프리카 의과 및 치과 위원회 및 와이트섬 보건당국에 부여된 문장에 포함될 정도로 긍정적이며 좋은 이미지의 길조이자 신의 새로써 명성을 쌓고 있습니다.

    아픈 소년을 위로하는 칼라드리우스

    728x90
    반응형
    LIST

    '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의 여인들 이엘레(Iele)  (2) 2022.10.07
    쿤 아눈(Cŵn Annwn)  (2) 2022.10.06
    늑대인간(werewolf)  (0) 2022.10.01
    보다야노이(vodyanoy)  (2) 2022.09.23
    불멸의 코셰이(Koschei the Immortal | Коще́й Бессме́ртный)  (0) 2022.09.22

    댓글

Designed by Tistory.